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박남규 교수 프로필 나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4. 7. 10.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박남규 교수

2024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의 박남규 교수가 선정되었습니다. 박 교수는 태양전지 신기술을 개발하여 전 세계 태양광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수상 이유 및 연구 성과

박남규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광흡수 물질을 이용해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태양전지를 최초로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물질 구조에 따라 부도체, 반도체, 도체, 초전도체 등 다양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로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박 교수의 연구는 태양전지 기술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며 태양광 산업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2011년, 박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화합물의 높은 흡광 특성을 발견하였고, 이듬해 표준 태양광 조건에서 최고 효율인 9.7%와 500시간의 장기 안정성을 발휘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으며, 2024년 4월까지 8300회 이상의 인용 횟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를 통해 박 교수는 2017년부터 2023년까지 7년 연속으로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또한, 박 교수는 국내외 특허 71건을 등록하고, 2008년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로 28억 원의 기술이전료를 받는 등 연구 성과를 상업화하는 데에도 성공했습니다.

학력 및 경력

박남규 교수는 1988년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고, 1992년 같은 대학교 화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1995년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원(NREL)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을 거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태양전지센터장을 역임했습니다. 2009년부터는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현재까지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수상 소감 및 미래 계획

박 교수는 수상 소감을 통해 "사회와 소비자가 요구하는 성능에 부합되는 ‘플랫폼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며, "태양전지와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하여 효율과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기초지식과 방대한 양의 실험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의 이러한 목표는 앞으로도 많은 연구자들에게 큰 영감을 줄 것입니다.

시상식 및 상금

박남규 교수에 대한 시상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며, 7월 10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되는 제2회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박 교수에게는 대통령 상장과 함께 상금 3억 원이 수여됩니다.

박남규 교수의 연구는 태양전지 기술의 혁신을 이끌며 전 세계 태양광 산업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그의 연구 성과는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한 박 교수는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를 통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